본문 바로가기
나의 이야기/공부 이야기

[돈공부] 2025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, 나도 받을 수 있을까, 지원조건

by 모드니90 2025. 2. 14.
반응형

2025년 청년월세지원,
나도 받을 수 있을까?

안녕하세요! 모드니입니다.
요즘 월세 부담 때문에 고민 많으시죠? 특히 자취하는 청년들에게는 월세가 정말 큰 지출 중 하나인데요. 다행히 정부에서 ‘청년월세지원’ 제도를 운영하고 있어요! 월세를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는 방법, 지금부터 하나씩 자세히 알려드릴게요.

청년월세지원이란?

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에서 월세 일부를 지원해주는 제도예요. 간단히 말하면,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매달 월세를 지원받을 수 있다는 뜻이죠!

이 제도는 한시적 지원이기 때문에 신청 기간과 대상자를 잘 확인해야 해요. 매년 정책이 조금씩 바뀔 수도 있으니 최신 정보를 꼭 챙겨보세요.



지원 대상


다음 조건을 충족하는 청년이라면 신청할 수 있어요!

✅ 연령: 만 19세 ~ 34세 (신청일 기준)
✅ 거주 조건: 부모와 따로 거주하는 무주택 청년
✅ 소득 기준
본인 소득: 중위소득 60% 이하 (1,435,208원)
부모 소득(원가구 소득): 중위소득 100% 이하
✅ 주거 형태: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& 월세 60만 원 이하 주택 거주

📌부모 소득을 보지 않는 경우
30세 이상인 경우
혼인 또는 이혼한 경우
미혼부 또는 미혼모인 경우
30세 미만의 미혼 청년이 중위소득 50% 이상
을 벌어 생계를 독립적으로 유지한다고 시∙군.구청
장이 인정하는 경우

※ 단, 월세가 60만 원을 초과해도 보증금이 있는 경우 월세 환산액(보증금÷12 + 월세)이 70만 원 이하라면 신청 가능!

📌 중위소득이란?
쉽게 말해, 전국 가구를 소득순으로 줄 세웠을 때 중간에 해당하는 소득을 기준으로 정하는 값이에요. 매년 조정되므로, 신청 전에 최신 기준을 확인하세요!



지원 금액

청년월세지원으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월 최대 20만 원이에요!

최대 24개월(2년) 동안 지원으로 최대 480만원까지 지원 받을 수 있어요.
방학등으로 수급기간이 연속적이지 않더라도 24회분 지원이 되요~

본인이 실제 납부한 월세 범위 내에서 지원

예를 들어, 내가 내는 월세가 15만 원이면 15만 원을 지원받고, 25만 원이면 20만 원까지만 지원돼요.



신청 방법 & 필요한 서류

신청은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할 수 있어요!

🔹 신청 방법

✅ 온라인 신청: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
✅ 오프라인 신청: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 신청 가능



🔹 필요 서류
📝 신분증 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등)
📝 임대차계약서 (전·월세 계약을 증명하는 서류)
📝 소득 관련 서류 (건강보험료 납부 확인서 등)
📝 통장 사본 (지원금 받을 계좌)
📝 주민등록등본 (부모와 따로 거주하는지 확인)

서류는 신청할 때마다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, 신청 전에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필수 서류 목록을 꼭 확인하세요!


신청 기간  & 지급 시기

✔ 신청 기간: ~2월 25일까지
✔ 지원금 지급 시기: 신청 후 심사 완료되면 계좌로 입금

보통 신청 후 2~3개월 내에 첫 지급이 이루어지는데요. 신청자가 많을 경우 심사가 지연될 수도 있어요.



신청 시 주의할 점
📌 부모와 따로 거주하는 청년만 신청 가능
📌 주거급여 수급자는 중복 지원 불가
📌 임대차계약서와 실제 거주지가 일치해야 함
📌 신청 후에도 거주 상태나 소득이 바뀌면 신고해야 함


혹시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까 걱정된다면, 거주지 주민센터나 복지로 상담센터(☎ 129)에 문의해보세요!




월세 부담이 큰 청년들에게는 정말 유용한 제도죠? 아직 신청하지 않았다면 놓치지 말고 꼭 챙겨보세요!

✔ 최신 공고 확인: 복지로 홈페이지
https://m.bokjiro.go.kr/ssis-tem/twataa/wlfareInfo/moveTWAT52011M.do?wlfareInfoId=WLF00004661

https://m.bokjiro.go.kr/ssis-tem/twataa/wlfareInfo/moveTWAT52011M.do?wlfareInfoId=WLF00004661

m.bokjiro.go.kr


✔ 신청 가능한지 궁금하면?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 또는 129 상담센터 문의

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