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 청년월세지원,
나도 받을 수 있을까?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8ZeUp/btsMhoncwPS/DIQ11cqKYdrI8udmbz8N6k/tfile.png)
안녕하세요! 모드니입니다.
요즘 월세 부담 때문에 고민 많으시죠? 특히 자취하는 청년들에게는 월세가 정말 큰 지출 중 하나인데요. 다행히 정부에서 ‘청년월세지원’ 제도를 운영하고 있어요! 월세를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는 방법, 지금부터 하나씩 자세히 알려드릴게요.
청년월세지원이란?
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에서 월세 일부를 지원해주는 제도예요. 간단히 말하면,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매달 월세를 지원받을 수 있다는 뜻이죠!
이 제도는 한시적 지원이기 때문에 신청 기간과 대상자를 잘 확인해야 해요. 매년 정책이 조금씩 바뀔 수도 있으니 최신 정보를 꼭 챙겨보세요.
지원 대상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Qurq/btsMgQYI1GK/ZFUTNsHBUh54ZEfKaArnUK/tfile.png)
다음 조건을 충족하는 청년이라면 신청할 수 있어요!
✅ 연령: 만 19세 ~ 34세 (신청일 기준)
✅ 거주 조건: 부모와 따로 거주하는 무주택 청년
✅ 소득 기준
본인 소득: 중위소득 60% 이하 (1,435,208원)
부모 소득(원가구 소득): 중위소득 100% 이하
✅ 주거 형태: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& 월세 60만 원 이하 주택 거주
📌부모 소득을 보지 않는 경우
30세 이상인 경우
혼인 또는 이혼한 경우
미혼부 또는 미혼모인 경우
30세 미만의 미혼 청년이 중위소득 50% 이상
을 벌어 생계를 독립적으로 유지한다고 시∙군.구청
장이 인정하는 경우
※ 단, 월세가 60만 원을 초과해도 보증금이 있는 경우 월세 환산액(보증금÷12 + 월세)이 70만 원 이하라면 신청 가능!
📌 중위소득이란?
쉽게 말해, 전국 가구를 소득순으로 줄 세웠을 때 중간에 해당하는 소득을 기준으로 정하는 값이에요. 매년 조정되므로, 신청 전에 최신 기준을 확인하세요!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zJYYP/btsMiYU7mZL/KdL7YV3k13qHTnFWLZXRhK/tfile.png)
지원 금액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wkXO3/btsMh9iJVea/Hi5yc0RDF8Dh1AbBZ2TlXk/tfile.png)
청년월세지원으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월 최대 20만 원이에요!
최대 24개월(2년) 동안 지원으로 최대 480만원까지 지원 받을 수 있어요.
방학등으로 수급기간이 연속적이지 않더라도 24회분 지원이 되요~
본인이 실제 납부한 월세 범위 내에서 지원
예를 들어, 내가 내는 월세가 15만 원이면 15만 원을 지원받고, 25만 원이면 20만 원까지만 지원돼요.
신청 방법 & 필요한 서류
신청은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할 수 있어요!
🔹 신청 방법
✅ 온라인 신청: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
✅ 오프라인 신청: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 신청 가능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PKbSi/btsMg676IlU/W75YidkE25gbciB1adD2p1/tfile.png)
🔹 필요 서류
📝 신분증 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등)
📝 임대차계약서 (전·월세 계약을 증명하는 서류)
📝 소득 관련 서류 (건강보험료 납부 확인서 등)
📝 통장 사본 (지원금 받을 계좌)
📝 주민등록등본 (부모와 따로 거주하는지 확인)
서류는 신청할 때마다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, 신청 전에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필수 서류 목록을 꼭 확인하세요!
신청 기간 & 지급 시기
✔ 신청 기간: ~2월 25일까지
✔ 지원금 지급 시기: 신청 후 심사 완료되면 계좌로 입금
보통 신청 후 2~3개월 내에 첫 지급이 이루어지는데요. 신청자가 많을 경우 심사가 지연될 수도 있어요.
신청 시 주의할 점
📌 부모와 따로 거주하는 청년만 신청 가능
📌 주거급여 수급자는 중복 지원 불가
📌 임대차계약서와 실제 거주지가 일치해야 함
📌 신청 후에도 거주 상태나 소득이 바뀌면 신고해야 함
혹시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까 걱정된다면, 거주지 주민센터나 복지로 상담센터(☎ 129)에 문의해보세요!
월세 부담이 큰 청년들에게는 정말 유용한 제도죠? 아직 신청하지 않았다면 놓치지 말고 꼭 챙겨보세요!
✔ 최신 공고 확인: 복지로 홈페이지
https://m.bokjiro.go.kr/ssis-tem/twataa/wlfareInfo/moveTWAT52011M.do?wlfareInfoId=WLF00004661
https://m.bokjiro.go.kr/ssis-tem/twataa/wlfareInfo/moveTWAT52011M.do?wlfareInfoId=WLF00004661
m.bokjiro.go.kr
✔ 신청 가능한지 궁금하면?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 또는 129 상담센터 문의
'나의 이야기 > 공부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돈공부] 연금계좌 해외 ETF투자 세금 변경으로 이중과세, 연금계좌 세법 개정으로 배당소득세 과세 (1) | 2025.02.11 |
---|---|
[돈공부] 통상임금 확대 적용에 따른 급여 변화, 통상임금에 대한 모든 것 (0) | 2025.02.10 |
[2025년 세금 정보] 가족간 돈 거래시 주의 할 점, 증여세 상속세 변경 사항 (0) | 2025.02.04 |
[서평] 행동하지 안쓰면 인생은 바뀌지 않는다. 브라이언 트레이시, 변하고 싶은 분에게 삶을 바꾸는 방법을 (0) | 2025.01.21 |
[돈공부] 2025년 연말정산 인적공제 받기, 인적공제 기준, 부모님은 인적공제 되나요? (0) | 2025.01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