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족간 돈 거래시 주의 할 점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jKkCR/btsL6VSstq4/V3dSifpzWc0FhyHIbC36rK/tfile.png)
안녕하세요. 모드니 입니다.
오늘은 2025년에 꼭 알아야 할 세금 정보를 다양한 사례와 함께 살펴보면서, 불필요한 세금 부담을 피하는 방법을 알아보려합니다.
특히 가족간의 돈 거래시 주의해야 할 사항은 꼼꼼히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. 가족간에 적은 금액이라도 돈을 주고 받다보면 자칫 세금 폭탄을 맞을 수도 있다고 하더라구요. 꼭 잘 알아보시고 가족간에 돈 거래 하실길 바랍니다.
증여세 및 상속세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vqUTR/btsL6WpwfGV/iTTeBirwmaXkxdaoXk1Tm1/tfile.webp)
✅ 증여세: 부모가 자녀에게 돈을 줄 때 주의할 점
부모가 자녀에게 현금을 증여할 때 세금을 피하려고 계좌를 여러 개로 나누어 송금하거나, 소액으로 여러 번 보내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하지만 이런 방법은 국세청의 추적 대상이 될 수 있으며, 오히려 불필요한 세무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.
📌 증여세 면제 한도
성인 자녀(만 19세 이상): 10년간 5천만 원까지 면제
미성년 자녀(만 19세 미만): 10년간 2천만 원까지 면제
배우자: 10년간 6억 원까지 면제
기타 친족(형제자매 등): 10년간 1천만 원까지 면제
위 금액을 초과하면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으니, 자녀에게 돈을 줄 때는 주의해야 합니다.
✅ 상속세: 사전에 재산을 자녀 명의로 바꾸면 어떻게 될까?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ZEh2/btsL7d5Eg6n/2tScDqDeUvEP0QekTVjum1/tfile.webp)
부모가 사망하기 전에 재산을 미리 자녀 명의로 변경하여 상속세를 회피하려는 경우가 있습니다. 하지만 이 경우 증여로 간주되어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또한 사전 증여 후 10년 이내에 부모가 사망하면, 해당 재산은 다시 상속세 과세 대상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무작정 재산을 자녀 명의로 돌리는 것보다는 전문가의 상담을 받아 합리적인 절세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.
세무 신고 시 주의사항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w1lRL/btsL73vhLgX/AHVxxCZXJhvIV5oa3CDSM1/tfile.webp)
✅ 가족 간 돈 거래, 그냥 주면 안 됩니다!
부모와 자녀, 형제자매 간 금전 거래가 있을 때, 이를 단순히 용돈이나 생활비로 생각하고 신고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. 그러나 일정 금액을 초과하는 금전 거래는 증여로 간주되어 증여세 부과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📌 안전한 금전 거래를 위해 체크해야 할 사항
일정 금액 이상 송금할 경우 증여세 면제 한도를 초과하는지 확인
송금 내역을 증빙할 수 있도록 계약서나 차용증을 작성
이체 기록을 남겨 자금의 흐름을 명확하게 증명
가족 간이라도 일정 금액 이상의 금전 거래가 발생하면 국세청에서 의심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.
이처럼 2025년을 맞아 세금 관련 법규를 미리 숙지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✔ 증여세와 상속세를 피하기 위한 꼼수는 국세청에서 추적할 수 있다!
✔ 가족 간 금전 거래도 일정 금액을 초과하면 신고해야 한다!
'나의 이야기 > 공부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돈공부] 통상임금 확대 적용에 따른 급여 변화, 통상임금에 대한 모든 것 (0) | 2025.02.10 |
---|---|
[서평] 행동하지 안쓰면 인생은 바뀌지 않는다. 브라이언 트레이시, 변하고 싶은 분에게 삶을 바꾸는 방법을 (0) | 2025.01.21 |
[돈공부] 2025년 연말정산 인적공제 받기, 인적공제 기준, 부모님은 인적공제 되나요? (0) | 2025.01.18 |
[돈공부] 연말정산 똑똑하게 하기, 연말정산이란 무엇인가, 사회초년생을 위한 연말정산 바로 알기 (0) | 2025.01.16 |
[돈 공부] 재무설계 기초부터 공부하기, 금융감독원에서 제공하고 금융교육 자료 활용하기 (1) | 2023.05.25 |